먼데이닷컴은 어떤 툴인가요? 먼데이닷컴 더 알아보기 🚀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5] 지금의 협업 도구가 되기까지...10년 동안 일어난 5가지 이벤트

2023-07-11

monday

머리말 


협업 도구 시대다. 유한한 자원인 시간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현실화 됐다. 
우리는 협업 도구를 잘 활용해야 하고 때문에 잘 알아야 한다. 그런데 협업 도구는 우리를 얼마나 도울 수 있을까?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는 협업 도구.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시리즈에서 다양한 협업 도구 이야기를 전달한다.




📌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시리즈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1] 협업 도구는 어디까지 왔는가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2] 협업 도구 도입의 필요 조건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3] 프로젝트에서 협업 도구는 왜 필요한가
[오세용의 협업 도구 이야기 #4] 전사 관점에서 협업 도구 도입하기




지난 7월 5일, 메타에서 출시한 SNS ‘스레드(Threads)’가 인기다. 인스타그램 계정을 기반으로 시작되는 스레드는 9일, 가입자 7천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2022년 2억 4천만 명(2022년 7월 기준) 가입자를 자랑하는 트위터의 무려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심지어 스레드는 현재 유럽연합(EU)에는 출시하지 않은 상황이다.


<그림1> 스레드 ./ 앱스토어


언론은 스레드 행보를 부추긴다.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가입자 수가 대한민국 국민 수를 넘어섰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한편으로는 기술적으로 도대체 그 트래픽을 어떻게 처리했으며 에러 없이 지속 운영되고 있을까 싶다. 어쨌든 참 대단한 조직이구나 싶다.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스레드와 같은 행보를 상상한다. 천만 단위는 아니더라도 각자가 원하는 수치가 있으며 대다수는 그 수치를 달성하지 못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CB 인사이트(CB Insights)에 따르면 스타트업의 실패 이유 중 42%에 해당하는 압도적인 1위가 ‘시장의 수요 없음(No market need)’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스타트업에게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 적절한 제품을 내놓아야 한다는 PMF(Product Market Fit)를 강조한다. 


<그림2> 20가지 스타트업 실패 이유 ./ CB Insights


그럼 이 칼럼의 주제인 협업 도구로 가보자. 협업 도구는 언제부터 지금과 같은 위상을 가졌을까? 언제부터 PMF를 달성했을까. 분명한 것은 협업 도구는 스레드와 같은 행보를 보이진 않았다. 적어도 내가 커리어를 시작한 2011년에는 협업 도구의 위상이 지금과 같진 않았다.


먼데이닷컴은 2012년에 창립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2010년 이스라엘 기업인 Wix.com에서 나온 직원들이 만든 서비스다. 지난 10년 동안 분명 협업 도구 업계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음이 틀림없다.


이 글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협업 도구 생태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굵직한 이벤트를 알아본다.




2023 협업 도구 위상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VMR에 따르면 협업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1년 59억 3천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144억 8천 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연평균 성장률은 12.75%다.


<그림3> VRM 글로벌 협업 도구 시장 ./ VRM


2023년 6월 기준 통신회사 KT 시가총액이 약 8조 원이다. 그리고 신한지주 시가총액이 약 18조 원이다. 글로벌 협업 도구 시장은 이미 국내 굴지의 대기업 수준에 올라섰다. 이 정도 규모의 시장이 여전히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는 건 굉장한 속도다.


기사에 따르면 국내 협업 도구 시장은 약 5천억 원 수준이다. 글로벌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국내 시장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올라섰다. 국내에서도 글로벌 성장률을 이어받는다면 협업 도구 시장은 꽤 유망한 산업이라 볼 수 있다.



<그림4> 국내 협업 도구 시장 ./ 아이뉴스24



협업 도구는 어떻게 중요해졌는가

내가 커리어를 시작한 2011년에는 협업 도구의 위상은 지금과 같지 않았다. 레드마인, 맨티스, 지라 등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필요한 도구는 있었지만 현재 스타트업 생태계처럼 협업 도구를 전사에 도입하는 등의 프로젝트는 흔치 않았다.


하지만 현재는 프로젝트 시작을 위해서 우선 협업 도구부터 도입하기도 한다. 많은 협업 도구가 스타트업 정책을 지원한다. 특히 아틀라시안은 10명까지는 무료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초기 스타트업을 공략한다. 락인 효과로 인해 조직이 커져도 쉽게 빠져나가지 못할 거란 계산이다.


<그림5> 아틀라시안 지라 가격정책


하지만 협업 도구는 단순히 현재 ‘무료'라고 해서 도입할 수는 없다. 협업 도구가 조직에서 활용되려면 많은 게 필요하다. 내가 쓴 책 <팀장님, 우리도 협업 도구 쓸까요?>에는 ▲팀 내 아군을 만들고 ▲업무를 개선하고 ▲시스템을 만들어 ▲조직 내 문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적었다.


<그림6> 팀장님, 우리도 협업 도구 쓸까요?


조직에 협업 도구를 도입하는 것도 이렇게 많은 절차가 필요한데 소프트웨어 산업 전반에 협업 도구가 정착하기까지는 얼마나 많은 절차와 시간이 필요했을까? 그 이야기를 풀어볼까 한다.


 클라우드

먼저 클라우드다. 변화의 시작에는 인프라가 우선 돼야 한다. 신도시를 개발할 때도 교통 등 인프라를 우선 설치한다. 사무실을 옮길 때도 랜선과 유선 전화선부터 설치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림7> 클라우드 시장 규모 ./ 가트너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클라우드 시장은 굉장한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다. 2017년 대비 2022년에는 무려 두 배 수준을 넘어섰다. 이렇게 성장하면서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는 걸 보면 여전히 더 많은 영역이 남았다고 볼 수 있다.


소프트웨어 산업 전반에 클라우드 인프라가 녹아든 것은 앞으로 언급할 모든 영역의 바탕이 되는 것이다. 아마 클라우드가 깔리지 않아 여전히 온프레스미스로 모든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지금의 성장 속도는 없었을 것이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다음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기존 전통적인 산업 구조를 디지털 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대기업의 관심하에 많은 기업이 뛰어들었는데 이들이 노리는 것은 데이터다.


모두의 손에 스마트폰이 들리고 이로 인해 모든 게 연결되는 만큼 여기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쌓고, 읽고, 분석하는지에 따라 앞으로의 비즈니스 전략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시대에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눈 가리고 길 찾는 격이다.


<그림8>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협업 도구 역시 이 일환의 하나다. 직원들이 일하는 것에 관한 데이터를 쌓아 데이터에 기반한 판단을 하겠다는 것이다. 어쨌든 대기업이 나선 덕분에 많은 자본이 투입되고 산업 전반에 기회가 열렸다.


 SaaS

인프라가 깔리고 산업계 전반의 관심이 쏠리니 이제는 각 요소요소에 니즈가 생긴다. 그리고 이 니즈는 SaaS라는 이름의 작은 애플리케이션들이 풀어낸다.


SaaS는 ‘Software as a Service’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즉, 어떤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월 구독 형태의 모델은 대부분 SaaS라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협업 도구는 대부분 SaaS다.


<그림9> 유망 SaaS 개발육성 지원 사업


이에 정부는 ‘유망 SaaS 개발육성 지원 사업’을 만들며 유망 산업임을 선언했다. 물리적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 특성상 SaaS는 정부의 눈에 마음에 들 수밖에 없다.




 자동화

이렇게 각종 소프트웨어가 SaaS로 제공되니 효율을 추구하는 캐릭터, 엔지니어들이 가만히 두고 보지 않는다.


자피어, IFTTT 등 자동화 도구가 생겨나 빠르게 업계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다. 이런 도구를 활용하는 것 역시 현시대 필수 기술 중 하나가 됐다. 또한 슬랙 등은 이 도구들을 모으는 허브 역할을 자처하기도 한다. 


<그림10> 먼데이닷컴 자동화


특히 먼데이닷컴은 이 자동화 기능을 수백 개 제공하고 커스터마이징해 직접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한다. 우리는 이런 도구를 활용해 업무 흐름을 만들어 효율적인 업무를 가능하게 한다.


협업 도구의 자동화 도구를 마치 ‘알아서 다 자동으로 해주는 것'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자동화 도구를 그렇게 사용하는 게 맞다. 하지만 자동으로 해주되 ▲무엇을 ▲어떻게 자동화하는지는 사람의 몫이다. 이마저도 알아서 해주는 건 인공지능의 영역이다. 


이제 인공지능의 시대가 열리는 것 같지만 ▲무엇을 ▲어떻게 자동화하는지 방향성을 잡는 건 여전히 사람의 몫이다. 글쎄, 10년 뒤에는 이마저도 인공지능이 할지도 모르겠다.


 코로나와 비대면

사실 현재 협업 도구 기능 중 지난 10년 동안 세상에 없던 게 무엇이냐 물으면 쉽게 답하기 어렵다. 고객 관점에서는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행위는 똑같기 때문이다. 협업 도구 UI/UX에 확연한 변화가 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데이터를 입력하고 다루는 일련의 데이터 처리 로직은 세상에 없던 것이라 하긴 어렵다.


하지만 고객이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꽤 많은 것을 말한다. 세상에 없던 신기술이 아니더라도 고객이 사용하지 않던 기술을 사용하게 됐다면 이는 고객 관점에서 신기술이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맥락에서 협업 도구에 사용된 많은 기술은 지난 10년 동안 ‘신기술'로써 고객을 만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고객이 기술을 받아들이기까지는 글로벌한 특이점이 있었다.


<그림11> 코로나의 역설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근무는 협업 도구의 시계를 앞당겼다. 업계에서는 코로나가 무려 10년을 앞당겼다고 평가한다.


업계 실무자로서 신기한 것은 ‘비대면 근무'를 대하는 시니어들의 태도다. ‘재택 근무'를 하겠다 하면 그토록 근엄한 표정으로 꾸짖었던 사람들이 트렌드에 맞게 ‘비대면 근무'를 하겠다 하면 허락하는 식이다. 분위기가 만드는 변화는 생각보다 무겁고, 빠르다는 걸 새삼 느꼈던 지난 몇 년이다.


물론 물 들어올 때 제대로 노 저은 업계의 실무자들의 공도 크다. 어쨌거나 그들에게는 언제 올지 모르는 기회였고 이 기회를 업계에 녹여냈으니 이에 따른 혜택을 누리는 것도 당연하다 싶다.


마무리

클라우드라는 인프라가 깔리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화두에 대기업이 응답했다. 덕분에 업계 전반에 자금이 마련됐다. 이에 업계는 SaaS와 자동화로 답하며 시장의 참여를 기다렸고, 코로나라는 변수가 이 참여를 무려 10년 앞당긴 셈이 됐다.


고무적인 것은 협업 도구라는 것의 특징인 ‘락인 효과'다. 락인(lock in) 효과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소비자를 묶어두는 효과를 말하는데 이미 협업 도구를 활용한 업무를 경험한 세대는 이를 벗어나기 쉽지 않다. 더욱이 협업 도구는 도구를 선택하는 위치의 관리자들에게도 좋은 도구다. 때문에 관리자와 실무자가 모두 편해진 상황은 협업 도구 시대가 일시적이 아닌 이제 본격 시작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다.


어쩌면 우리는 말 그대로 ‘디지털 전환'을 몸소 경험한 세대로 기록되지 않을까.

참고자료



🧑🏻‍💻 오세용 유자랩스 대표
컴퓨터를 전공하고 모바일 개발자로 6년 동안 일했다. <도밍고 컴퍼니>를 창업해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를 만들며 미디어에 관심을 뒀다. 이후 소프트웨어 전문지 <마이크로 소프트웨어>에서 IT기자로 일하며 레거시 미디어를 경험했다. 데이터 중개 스타트업 <코드에프>에 합류해 다시 개발자로 4년 동안 일했다. 개발자, 창업자, 기자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며 다양한 협업 도구를 사용했다. 이 경험을 엮어 도서 <팀장님, 우리도 협업 도구 쓸까요?>를 저술했다. 현재는 B2B SaaS 스타트업 <유자랩스>를 창업해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 먼데이닷컴
  • 협업툴
  • 협업
  • 협업트렌드
  • 협업툴트렌드
  • 업무협업툴
  • 무료협업툴
  • 업무
  • 업무관리
  • 업무툴
  • 업무분장
  • 업무포털

카테고리 연관글